부인암 환자의 예방접종과 항암치료

부인암 환자의 예방접종

오늘은 환자분들이 많이 질문하시는 예방접종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암 환자 자체가 일반인보다 감염에 취약하지만, 항암 치료를 하게 되면 면역력이 약해질 수 있어 감염에 더 취약해지기 때문에 예방접종의 중요성이 일반 사람들에 비해 더 커지게 됩니다. 

항암치료 시작하기 전에 가능한 모든 필요한 예방접종을 미리 완료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 중에 예방접종을 투여하는 경우 항암제 주기 사이에 비활성화 백신 (다른 말로 사백신이라 부릅니다) 을 맞는 것이 적절합니다. 살아있는 백신 (다른 말로 생백신이라 부릅니다) 은 항암치료 중이나 항암치료 종료 후 6개월 동안은 피하셔야 합니다. 이것은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이니 참고하세요. 부인암 항암치료 주기는 주로 3주 (예. Paclitaxel-Carboplatin) 이나, 그 외에도 4주 (예. Pegylated liposomal doxorubicin) 나 1주 (예. weekly Paclitaxel) 간격 등인 항암치료도 있으므로, 주기에 맞는 예방접종 일정 조정도 필요합니다. 

그럼 이제 항암치료 전과 항암치료 중, 그리고 항암치료 후로 분류하여 각각 투여할 수 있는 예방 접종과 적정 투여 시기에 대해 적어볼게요.


1. 항암치료 전 접종 가능한 백신

  • 폐렴구균 백신(단백결합백신 PCV13, 상품명: 프리베나 / 다당류백신 PPSV23, 상품명: 프로디악스23, 뉴모23)
  • 대상포진 백신(비활성화 백신, 상품명: 싱그릭스)
  • Tdap 백신(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 B형 간염 백신(필요한 경우
  • 독감 백신(비활성화 백신) /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은 항암치료를 시작하기 최소 2주 전에 투여하면 좋습니다. 이렇게 투여하면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백신에 충분히 반응할 시간을 갖게 됩니다.

  1. 폐렴구균 백신: 항암치료 전 프리베나 (PCV13)을 먼저 접종하고, 8주 후에 프로디악스23 이나 뉴모23 (PPSV23) 을 접종하면 됩니다.
  2. 대상포진 백신: 싱그릭스를 1차 접종하고 항암치료을 시작한 2개월 뒤에 밑에 기술할 적정 시기에 2차 접종을 하면 됩니다.
  3. Tdap 백신: 과거에 접종력이 없다면 1회 예방 접종을 하고 이후 10년에 1회씩 Td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신만 접종하면 됩니다.
  4. B형 간염 백신: 항체 검사 (Anti-HBs) 를 통해 항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예방접종을 시작하면 됩니다. 총 3회 접종 (0, 1, 6개월)을 하게 되고, 항암치료 이후에도 밑에 기술할 적정 시기에 2차, 3차 접종을 하면 됩니다. 
  5. 독감 백신 / 코로나19 백신: 독감의 경우 유행 시기에 따라 접종을 하면 되고,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항암치료 전에 접종을 하는 것이 권고 됩니다.

 

2. 항암치료 중 접종 가능한  백신

  • 폐렴구균 백신 (PCV13 혹은 PPSV23 – PCV13 접종 후 8주 지났다면)
  • 대상포진 백신 (싱그릭스)
  • 독감 백신(매년, 비활성화 백신)
  • 기타 필요한 비활성화 백신

항암제 투여 후 약 10일 지난 시점부터 다음 항암치료 시작 전까지가 적절한 시기에요. 예를 들어, 3주 주기로 항암치료 받으신다면 항암제 투여 받은지 약 10일에서 21일 사이에 예방접종을 계획하시면 됩니다. 4주  주기로 항암치료를 받으신다면 항암제 투여 받은지 약 10일에서 28일 사이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1. 폐렴구균 백신: 항암치료 전에 접종했던 프리베나에 이어 8주 이후 항암치료 중에 프로디악스23 이나 뉴모 23을 (PPSV 23) 을 접종할 수 있습니다.
  2. 대상포진 백신: 항암치료 전에 접종했던 싱그릭스를 1차 접종에 이어 2개월 뒤 항암치료 중 에 2차 접종을 할 수 있습니다.
  3. 독감 백신: 항암치료 중간에 독감 백신 접종 투여 기간이 돌아왔다면 위에 서술한 적정 시기 (항암제 투여 후 약 10일 지난 시점부터 다음 항암치료 시작 전) 에 예방접종을 하면 됩니다.
  4. B형 간염 백신: 항암치료 전에 시작한 1차 접종에 이어 1개월 및 6개월 뒤 항암치료 중 혹은 이후에 2차, 3차 접종을 할 수 있습니다.

 

3. 항암치료 후 접종 가능한 백신

  • 치료 중에 접종 못한 백신(예: 대상포진 백신 2차 접종, B형 간염 백신 등)
  • 필요한 부스터 접종

항암치료가 모두 끝난 후 면역체계가 회복된 시점에 맞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겠지요? 이는 보통 치료 끝난 후 몇 주에서 몇 개월 후로, 이 때가 가장 적절합니다.

4. 특별한 경우: 비장 절제 (splenectomy) 환자에서 필요한 예방 접종

환자분들 중 수술 중 비장 절제를 하시거나 이전에 비장 절제를 받으셨던 환자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환자분들의 경우는 이하의 예방접종이 추가적으로 꼭 필요하니 반드시 확인하셔서 예방접종을 하도록 하세요.

  1. 폐렴구균 백신 (pneumococcal vaccine): 앞서 설명드린 예방접종 중 하나로 비장절제 환자에서 꼭 필요한 예방접종입니다. 프리베나 접종 후 8주 이후에 프로디악스 23 혹은 뉴모23 투여가 필요힙ㄴ;디. 이후 5년 뒤 프로디악스 23이나 뉴모23 추가 접종이 필요합니다 (65세 이후 1회).
  2. Hib (hamophilus influenzae type B) 백신: 과거 접종력이 없는 경우 일생 중에 1회 접종을 하면 됩니다.
  3. 수막구균 백신 (meninococal vacine): 55세 이하의 환자에서 필요한 예방접종 중 하나로 멘비오 혹은 메낙트라 2회 접종이 필요합니다 (최소 8주 간격을 두고 투여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매 5년마다 추가 접종을 하고 MenB 백신 접종 투여를 추가 고려해야 합니다 (이 부분은 조금 복잡하니 의료진과 상의하세요).

부인암 환자분들의 예방접종은 항암치료 전, 중, 후의 적절한 시기에 맞춰 계획하는 것이 중요해요. 특히 항암치료는 감염과 밀접한 영향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예방접종을 미리 하고, 항암치료 중에도 안전한 시기에 접종하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그리고 항암치료가 끝난 이후에도 삶을 건강하게 지내기 위해서도 예방접종은 중요한 부분이니 잘 기억하시고 메모하여 두세요!

오늘의 내용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추가적인 질문은 부인암 전문의와 상담하세요:)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